<김명열칼럼> 무더운 여름, 삼복더위에…….

<칼럼리스트 / 탬파거주>
여름의정점, 7월,그중에 더위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삼복더위가 찾아왔다. 한 여름의 푹푹치는 더위에도 복날이 되면 사람들은 삼계탕, 보신탕, 염소매운탕 등 뜨거운 음식을 찾아 나선다. 가족, 지인, 직장동료 등이 어울려 복날 음식을 먹으면서 덕담을 나누기도하고 더위에 지친 몸을 보양식을 먹으며 원기를 회복한다.
금년 달력을 보니 지난 17일이 초복이고, 중복은 27일, 말복은 8월16일이다. 원래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오는데, 금년에는 중복과 말복사이에 입추(8월7일)가 끼어있어서 이런 경우를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삼복은 원래 중국의 속절(俗節)로서 옛날 진나라와 한나라 때부터 숭상되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삼복은 일 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이를 삼복더위라고 한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뜻에서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얼음을 장빙고에서 타가게 하기도하였다. 옛날의 추억으로 나의고향에서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아이들과 부녀자들은 여름과일을 즐기고, 어른들은 술과 음식을 마련해 산간계곡으로 들어가 탁족(濯足)을 하면서 하루를 즐긴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초, 중, 말복의 삼복더위를 이겨내는 시절음식으로 개장국(일명 보신탕)이 있다. 지금은 한국에서도 한편에서는 혐오식품으로 치부하며 보신탕(영양탕) 먹지 않기 운동이 전개되고, 일부 동물애호단체에서조차 강한 반발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옛날의 나의고향에서는 삼복더위로 허약해진 몸을 기력을 회복시켜 주는 데는 이만한 음식이 없다고 하여, 여름철만 되면 즐겨 해먹는 음식이었다.
허준이 저술한 동의보감에는 (개고기는 오장을 편안하게하며 혈맥을 조절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며, 골수를 충족시켜 허리와 무릎을 따듯하게 해주고 양도(陽道)를 일으켜 기력을 증진시킨다)는 기록이 있어 개고기의효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민족이 개장국을 건강식으로 널리 즐겼음은 분명하나 지방에 따라 개고기를 먹으면 재수가 없다고 하여 금하기도 하였다.
지금은 개고기를 식용으로 하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이 세계적인 추세여서 개장국(보신탕)을 대신하여 삼계탕을 즐기고 있다. 어쨌거나 삼복더위가 시작되면 더불어 더위를 피한 바캉스시즌도 함께 시작되는데, 북한에서는 삼복더위를 맞아 휴가를 갖고 피서를 간다는 것은 꿈같은 얘기라고 한다. 이제 계절은 한여름,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고 삼복더위가 찾아왔다. 삼복(三伏)하면 더위, 더위하면 복날이 생각난다. 가을기운이 세번이나 여름에게 굴복한다는 삼복철이면 누구나 축 처지게 마련이다. 한여름의 더위는 예나 지금이나 별로 차이가 없지만 더위를 식히고 피하는 방법은 많이 달라진 것이 현실이다.
옛날에는 방문과 창문을 전부 열어놓고 시원함을 구했고, 요즘은 자연의 원리가 차단된 밀폐된 공간에서 기계의 도움으로 더위를 다스린다.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르는 이때쯤이면 기력이 떨어져 어디 산이나 바다에 가서 며칠간 푹 쉬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하지만 산다는 게 그렇게 호락호락한 것이 아니고 보면 더위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는 것이다. 문명이발달한 지금은 에어컨이다 선풍기다 뭐다 해서 한여름에도 더위를 모르고 지내지만, 우리의 선조들은 이른바 복더위를 피하기 위해 갖은 방법을 동원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이열치열(以熱治熱)의 원리와 서늘함(冷)으로 더위를 식히는 이냉치냉(以冷治冷)의 방법이다.
여름철에 무더운 것은 자연의 당연한 이치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덥다 덥다 하면서 무더위를 지긋지긋하게 생각한다. 이열치열의 피서는 더위를 피하지 않고 맞서서 이겨내는 적극적인 피서법이다. 일부러 뜨거운 음식을 먹고 땡볕도 마다않고 제각기 일에 몰두하다보면 더위는 자연스레 물러간다. 이렇게 더울 때 우리의 선조들은 시원한 얼음이나 냉수대신 아주 뜨거운 음식을 먹으며 더위를 달랬다.
이열치열의방법과 더불어 복더위를 식히는 이냉치열의 방법도 있었다. 옛날 웬만한 집에는 우물이 있었는데 어느 동네마다 한, 두개 정도의 물맛 좋고 이가 시릴 정도로 찬 우물이 있
게 마련이다. 몹시 더운 여름날 사람들은 참외나 수박 같은 과일을 우물에 담가두었다가 먹고 싶을 때 꺼내먹곤 했다. 그 시원하고 달콤한 맛은 무더위를 싹 가시게 했다.
복더위를 식혀주었던 것은 이뿐이 아니었다. 여름철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부채였다. 우리나라 속담에 ‘단오선물은 부채요, 동지선물은 달력이다’ 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부채는 누구에게나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었다. 부채의 용도는 다양했다. 여름에는 따가운 햇볕을 막아주었고 파리나 모기를 쫓는데 한몫했으며, 아궁이의 장작불을 살리는데에는 그만이었다. 큰 부채는 방석으로 쓰거나 밥상으로도 썼다. 이렇듯 선조들의 여름필수품이었던 부채가 지금은 에어컨과 선풍기에 밀려 사라졌다.
시대가 바뀌어도 우리네 피서문화는 여전한 것 같다. 올여름에는 생각을 바꾸어 자연과 좀 더 가깝게 지내자. 남들이 간다고 나도 덩달아 따라가는, 그리고 꼭 떠들썩하게 다녀와야만 더위를 이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내가 살고 있는 주위를 잘 살펴보면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곳이 많이 있다. 다만 장소와 방법을 모를 뿐이다. 커다란 대야에 찬물을 가득 담아 발을 담그고 긴 명상에 잠겨보는 것도 좋고, 가까운 공원이나 숲속을 찾아 매미소리, 풀벌레 소리를 들으며 시원한 나무그늘에 앉아 독서삼매경에 빠져보는 것도 좋으리란 생각이 든다.
식품점이나 농장에서 사온 참외나 수박을 차가운 물에 담가두었다가 꺼내서 시원한 나무그늘에 앉아 먹는다면 더위를 쫓는 방법으로 더할 나위 없이 좋겠다. myongyul@gmail.com <1032 / 0727201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