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열칼럼> 육영수 여사님

<칼럼리스트 / 탬파거주>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일제의 강점기 36년간의 치욕어린 지배를 받다가 해방된 날이다. 이날을 기념하여 우리들은 그날을 광복절(光復節)이라한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전하여 일제강점기에 놓였던 대한민국이 독립을 성취하게 된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 광복절이다. 광복은 문자 그대로 ‘빛을 되찾음’을 의미하고 나라를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다.
일부에서는 1948년의 같은 날짜에 이루어진 대한민국 건국을 함께 기념하는 날로 여기기도 한다. 해마다 국민과 정부는 이날을 기념하고 축하하기위하여 성대한 기념식을 개최하고 각종음악회나 행사로써 이날을 기리고 축하하는 잔치를 벌이기도 한다.
1974년 8월 15일, 이날도 정부는 박정희대통령을 비롯한 영부인이신 육영수여사, 3부요인, 주한외교사절단 등 사회저명인사와 내빈 등 많은 사람들이 장충동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광복절기념행사를 가졌다.
오전 10시 박정희대통령이 연단에 서서 경축사를 할 때 갑자기 청중들 틈에서 권총을 든 괴한이 나와서 연단의 박대통령을 향해 실탄을 발사했다. 다행스럽게 박대통령은 암살을 면했다. 문세광이 쏜 처음 총탄이 빗나갔기 때문이다.
이때 범인을 저격하기위해 경호실장 박종규가 연단에서 뛰쳐나왔고, 박종규를 노린 범인의 총탄에 단상에 앉아있던 육여사가 총탄을 맞은 것이다. 그로 인해 육여사님은 향년 50세의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뜨셨고, 그분이 세상을 떠나자 수많은 국민과 여사에게 은혜와 사랑을 받은 많은 사람들이 친가족을 잃은 것 이상으로 슬퍼하며 애도의 눈물을 흘렸다. 이제 그분께서는 세상을 떠나신지 오래됐지만 육여사님의 숭고한 업적과 역사에 빛날 덕행과 사랑은 영원히 지워지지 않고 사람들의 마음과 가슴과 머릿속에 남아있을 것이다.

육영수여사는 ‘청와대안의 야당’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평소 재야 여론을 수렴해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도하고 그늘진 곳을 직접 찾아다니며 사회복지사업에 정진하고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활을 충실히 하신분이다.
남편이 정치인이 되었다고 아내까지 정치인이 되는 것은 육여사가 희망했던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어렵고 못살던 그 시절에는 행정의 손길이 미쳐 닿지 않는 그늘진 곳이 너무나 많았고, 참다못한 민초(民草)들은 최고 권력자의 안주인인 영부인께 편지를 보냈다. 편지를 보내면서도 여사가 읽어주기나 할까? 하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뜻밖에 여사님의 진심어린 반응과 자기 일처럼 생각해주는 소통방식에 놀랐다.
박정희대통령이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선출된 해 여름 어느 날 여사님 앞으로 한통의 편지가 왔다. 절도죄로 대전교도소에서 형을 마치고 나온 전과범이보낸 편지였다. 교도소에서 모범수 생활을 마치고 사회에 나가면 어떻게든 죄를 짓지 않고 착하게 살려고 마음을 굳게 먹고 나왔는데 막상 나와 보니 일자리도 없고 장사할 밑천도 없어서 막막하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면서 부디 손수레하나만 사주시면 고맙겠다는 생각이 들어 편지를 드린다고 했다.
처음 받아보는 낯선 사람의 서신이고 신원불명의 전과자가 보낸 것이니 무시해도 좋은 편지였다. 그러나 여사는 비서를 통해 사실 확인을 했다. 신원조회를 해 보니 거짓이 아니라는 연락을 받았다.
여사는 편지를 보낸 사람을 의장 공관으로 오게 했다. 그에게 가족관계는 어떻게 되는지, 손수레가 있다면 무슨 장사를 하고 싶은지 물었다. 그 남자는 포도를 팔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 한관에 얼마에 사와서 팔 때는 얼마에 팔겠는지, 수익은 얼마를 낼 수 있는지도 물었다. 평범한 대화였지만 세심하게 이 사람이 과연 도와줄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를 탐색하는 절차를 거친 것이었다.
여사는 대화를 마치고 그에게 봉투2개를 건넸다. 하나에는 손수레 한대 값과 포도10관을 살 수 있는 돈을 넣었다. 다른 하나에는 자신을 만나러 오는데 든 왕복여비, 점심값, 약간의 용돈을 넣었다.
여사님은 이런 명목들을 죽 적은종이까지 봉투에 넣어주며 이렇게 말했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했으니 열심히 해 성공하세요‘.

어느 날 신문사회면에 서울 이촌동판자촌에 사는 박옥순(24세)이라는 여인이 아들을 낳았는데 미역국은 고사하고 쌀이 없어서 젖먹이와 함께 굶어 죽게 생겼다는 기사가 실렸다.
육여사는 직접 이 여인의집을 찾아 나섰다. 한강변의 판자촌은 골목 어귀서부터 악취가 진동하고 대-소변을 골목에서 해결하는지 더러운 냄새가 코를 찔렀다. 수도는 물론 하수도 시설도 없어 생활폐수를 버린 오물로 넘쳐나고 있었다. 무허가판자촌이라 번지도 없이 마을전체가 뭉뚱그려 한 번지수였다. 도무지 집을 찾을 수가 없어 고생 끝에 동행한 기사를 불러 간신히 집을 찾았다.
거적 떼기로 만든 문을 열고 들어가자 몸이 퉁퉁 부은 산모와 탈수가 된 듯 쪼글쪼글한 어린생명이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었다. 언제 밥을 해먹었는지 솥이고 냄비고 음식찌꺼기가 바짝 말라 있었다.
물도 없고 불도 없었다. 기사를 시켜 물과 연탄을 사오게 하고 육여사는 부엌으로가 몸소 밥과 국을 끓였다. 산모는 누구인지도 모르고 육여사의 두 손을 잡으며 하염없이 흐느껴 울었다. 잡은 손을 맞잡으며 육여사의 두 눈에서도 굵은 물줄기가 한없이 흘러내렸다.
우리 속담에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는 말이 있다. 육여사님은 생전에 숫자로 셀 수 없는 만큼 많은 선행과 자선을 어렵고 힘들고 아픈 사람들을 위하여 헌신하고 봉사하며 온정을 베풀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의 빛과 희망이 되었고 힘이 되었으며, 정신적 지주와 어머니, 누님, 천사의 역할을 그늘지고 어둡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몸소 실천하고 손과 발이 되어주었다. 진물이 묻어나는 나환자의 손을 잡고 같이 아파했고, 남편이 데모하는 시위대를 탄압할 때 학생들을 감쌌고, 남편의 정권연장에도 동의하지 않았으며 언제나 힘없고 가난한 민초들을 만났고, 고통 받고 신음하는 아프고 병든 자들과 함께 눈물을 흘렸다.
언제나 늘 자신보다 못한 사람들의 처지를 생각하는 육여사님의 이런 사랑스런 마음과 선한행동의 밑바탕에는 연민의 감정이 자리 잡고 있었다. 연민이라는 낱말은 문자 그대로 ‘다른 사람의 고통을 함께하고 느낌을 함께 한다’는 뜻이다. 물질이 풍요로울수록 이기심은 커지고 타인에 대한 배려는 줄어든다. 티베트의 정신적지도자 달라이라마는 ‘연민이야말로 이시대의 진보정신’이라고 말했다.
2006년 8월 15일 열린 육영수여사 32주기 추모식에는 박대통령과 함께 국정에 참여했거나 현재 정치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은 1백여 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3천여 명은 정치와는 아무 상관없는 서민이었다고 한다. 최근의 추모식에도 변함없이 수많은 인파들이 참석을 하고 있고, 육여사님의 생가에는 평소에도 수많은 사람들의 추모 물결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그분이 가신지도 몇 십 년이 넘었는데도……….부모가 자식을 떠나고 자식이 부모 곁을 떠나도 모든 것을 잊기에 충분한 시간과 세월이 몇 십 년이 흐른 지금, 피를 나누고 목숨을 나눈 사람도 잊고 사는 세태인데, 무엇이 저들로 하여금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곳에’계셨던 분을 매년 잊지 않고 오랜 세월이 흐른 지금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 데는 우리가 곰곰이 생각하고 새겨볼 사항들이 너무나 많다.
정승이 죽으면 조문객이 없어도 정승집 개가 죽으면 정승에게 눈도장을 찍으려는 사람들로 문턱을 닳게 찾아오는 것이 권력이다. 그러나 매년 줄지 않고 불어나는 육여사님의 추모행렬은 비정하고 허망한 권력의 속성을 일거에 무너뜨리는 참으로 불가사의한 힘이라고 하겠다.
과거는 잊혀지게 마련이지만 영부인이신 육영수여사님의 신화는 시간이 갈수록 굳어지고 있다. 생전의 여사의 삶은 진정한 세상의 빛과 소금이 무엇인지를 몸과 행동으로 보여주는 살아있는 천사의 삶, 바로 그 자체였다.
좁은 지면에 여사님의 생전 훌륭하신 업적들을 다 표현하고 옮기지 못함을 아쉽게 생각할 뿐이다. 다가오는 8월 15일에는 민족의 해방된 날도 중요하지만, 살아생전 훌륭하신 천사의 모습을 몸소 실천하신 육영수여사님을 조금이라도 생각하고 추모하는 날이 되었으면 좋겠다.  myongyul@gmail.com <987/0812201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