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래원목사 / 올랜도 선한목자교회 담임 | |
우리가 사는 미국은 천의 자연적 수려한 경관을 가진 대표적인 나라 중 한곳입니다. 여행을 많이 다녀본 분들은 어디가 좋다, 어디가 좋다고들 자신들이 경험한 자연풍경을 가슴에 담고 나름의 멋진 스케치를 그려보게 됩니다. 드넓은 땅 곳곳이 멋진 풍경화를 만들어 내기도하고 장엄한 교향곡을 만들어 내기도하는 곳이 바로 이 땅입니다.
그래도 난 비발디 Vivaldi-사계가 좋습니다. 사계는 말 그대로 4계절을 작품으로 만든 이탈리아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가 1723년에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작품 번호는 Opus 8, No. 1-4이다.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중에 가장 유명한 곡으로서 또한 가장 사랑 받는 바로크 음악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곡은 본래 열두 곡이 포함된《화성과 창의의 시 도》의 일부분으로 출판되었으나, 사계절을 묘사한 첫 네 곡이 자주 연주되면서 현재와 같이 따로 분리되어 사계로 불리게 되었다. 각 곡은 3악장으로 되어 있고, 빠른 악장들 사 이에 느린 악장이 하나씩 끼어져 있다. 곡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이라는 제목이 붙인 다. 사계를 구성하는 네 개의 협주곡은 각 계절을 잘 묘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겨울”은 어둡고 우울한 반면에 “여름”의 1악장은 천둥번개를 떠오르게 한다. [위키백과 발췌] 봅의 협주곡은 새로 돋아나는 생명의 향기와 기지개, 새들의 합창 소리, 봄비의 두들기는 생명의 정겨운 노크소리, 나무마다 긴 겨울을 뚫고 잠에서 깨어나는 생명의 환희가 그것이고, 여름이면 강하고, 빠르고, 힘찬 물줄기와 강한 비, 바람의 소리들, 어디로 흐를지 모르는 굽이쳐 흐르는 강물의 장엄한, 생명의 역동성이 절정에 흐르고, 하늘의 변화무쌍함을 느낄 수 있는 두렵고도 강하며, 뜨겁고도, 고요한 인생의 악장이 그것이며, 가을이면 인생의 무상함과, 값진 열매와, 지난 세월을 아쉬워하며 자신들의 생명의 부르심을 마감하며 떨어지는 낙엽들, 천천히 의미를 남기며 흐르는 장인의 붓이 흘러가듯 흐르는 물의 자취 하나, 하나가 가 신중하고 의미로 나아감이 그것이고, 지난 세월의 모든 것이 사라진 체 앙상한 가지로 세파의 모든 비바람을 맞고 서있는 비목의 숭고함과 죽은 듯 죽지 않고, 산 듯 살지 않은 모습으로 또 다시 찾아올 교향곡의 향연을 준비하며 자신의 자리를 묵묵히 지키고 서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인생의 사계이고 협주곡입니다. 이처럼 인생은 다양한 풍경의 사계를 만들어 냅니다. 그래서 인생에는 봄도 있고, 여름도 있으며, 가을도 있고 또한 겨울도 있는 것입니다. 이런 사계가 인생의 풍경을 만들어 냅니다. 이처럼 인생에는 사계의 희로애락이 항상 존재합니다. 이러한 인생의 사계는 그래서 그 어떤 자연의 비경과도 바꿀 수 없는 인생이란 풍경을 만들어 내 주는 것입니다. 자연의 풍경은 사람의 삶을 윤택하게 해 줍니다.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해주고, 마음을 감동시키고, 기억을 아름다운 추억으로 건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우리는 풍경을 구경하고 놀이 삼아 찾지만 그 풍경은 항상 그 자리에서 자신을 구경하러 찾아온 사람들을 맞이하고 봅니다. 이런 내용이 적힌 글을 찾아냈습니다. “풍경과 사람 중에 좋은 것을 꼽으라 하면 난 사람이 있어서 풍경이 좋아진다고 말하겠다. 사람들이 멋있다고 하는 경치가 있으면 한 번 가봐야 세상의 모든 피조물은 인간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생육하고, 번성하고, 정복하고, 다스리라고 주신 것입니다. 특히 다스리라는 말에는 그것을 가꾸고, 돌보고, 즐기고, 그로 부 터 나오는 모든 자원을 누리고 취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사람은 그 어떤 풍경보다도 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존재 그 자체입니다. 오죽했으면 바울 은 우리를 보고 하나님의 걸작품이라고 표현을 했겠습니까? 우리처럼 멋지고 아름다움을 간직한 존재는 이 세상에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고, 누리고, 느끼는 것은 바로 가장 아름답고 고상한 풍경입니다. 그것은 그 풍경이 아름답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 풍경을 찾고 바라보는 우리가 아름다운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그 어떤 풍경보다 더 멋진 걸작품임이 분명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숨결이 불어 넣어졌기 때문입니다. 풍경들은 자연의 순응하며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갑니다. 스스로 깎고, 다듬고, 고칠 수 없습니다. 풍화라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자태가 만들어 지고, 즉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에 자신을 맡길 때 바람을 통해, 비를 통해, 폭우와 눈과 태양과 달빛을 통해 풍경을 연출해내고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