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열칼럼> 향수(香水)

<칼럼리스트 / 탬파거주>
은퇴하기 전에 내가 세탁업을 하면서 앞의 카운터에서 손님을 맞으면서 느꼈던 얘기이다.
나의 업소를 방문하는 손님들의 대부분은 대개가 몸에 향수를 뿌리고 직장에 근무하는 것 같다.
각 사람마다 각양, 각향의 향수냄새를 몸에서 풍기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흑인들은 진한 향의 향수를 뿌리고 백인들은 은은하면서도 톡 쏘는 듯한 향기이며, 동양인들은 비교적 은은한 향이 주종을 이룬다.
나의 업소에는 주로 20~40대 젊은 계층의 직장인들이 많았는데 저마다 개성적인 특징을 살려 향수조차도 그 사람의 전매특허인양, 취향에 따라 각자의 향이 달라서 향수냄새만 맡고서도 그 손님이 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자기만의 고유의 향수를 뿌리고 생활하기에 단골손님의 얼굴을 보지 않아도 쉽게 손님을 구별할 수 있었다.
현대인들에게 향수는 필수품으로써 자기 몸에 향수를 뿌리거나 바르는 것은 문화생활속의 자연스러운 습관이나 규범이 된 듯하다.
향수는 고대의 신성한 사원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은 미용사가 아닌 사제들의 전용품이 되다시피 한 물건이었다. 그리고 원래의 기능은 향의 형태로 오늘날 교회의식에 남아있다.
향수라는 말 자체는 per와 fumus가 합쳐진 복합어로 라틴어로(연기를 통하여)라는 뜻이다.
먹을 것을 찾는데 만 신경을 썼던 수렵인들은 신에게 바칠 가장 위대한 제물이 자기의 가장 귀중하고 필수적인 소유, 즉 도륙된 짐승을 바치는 것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향수는 살이 타는 냄새를 숨기기 위해 시체에다 뿌리던 탈취제로 원래 시작되었다.
성경에 보면 홍수에서 살아남은 노아가 동물을 태워 제사를 드리고 ‘주님이 향내를 맡으셨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향내는 살이 타는 냄새가 아니라 향이 타는 냄새이다.
시간이 가면서 상징적인 대치를 통해서 연기 나는 향 자체가 제사를 대신하게 되었다. 유향, 몰약, 계피, 감송 등의 수지 고무를 태우는 것은 인간이 신에게 바칠 수 있는 최대의 경의였다.
이렇게 해서 향수는 나쁜 냄새를 없애려는 실용적인 탈취제에서 그 자체로 귀중한 물품이 되었다.
더 이상 강한 탈취제가 필요 없게 되자 사람들은 가볍고 부드러운 과일과 꽃향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향에서 향수로, 강한 탈취제에서 약한 향으로의 전이는 6천 년 전 극동과 중동에서 일어났다.
기원전 3천년경의 메소포타미아지역의 수메르인들과 나일강유역의 이집트인들은 재스민, 히아신스, 붓꽃, 인동덩굴로 만든 기름과 주정으로 목욕을 했다.
이집트인들은 몸의 각 부분마다 다른 향수를 발랐다. 클레오파트라는 손에는 장미, 크로커스(crocus), 제비꽃기름인 키야피(kyaphi)를 발랐다고 한다. 발에는 아몬드기름, 꿀, 계피, 오렌지꽃, 헤나 등으로 만든 로션인 에젭티를 발랐다고 한다.
유럽에서 향수와 향수제조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이국적 향수를 가지고온 십자군이었다. 그리고 향수의역사중에 바로 이 시점은 새로운 요소가 도입되는 시점이었다.
이 새로운 요소는 바로 동물의 기름이었다. 동양으로부터 약사들은 네 가지 동물의 분비물을 약간만 써도 사람을 취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사향, 용연향, 그리고 해리향인데 오늘날 향수에서 없어서는 안 될 기본요소들이다.
이들은 향수로서 전혀 적합하지 않은 요소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성적인 분비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므로 이 자체로는 너무 독하고 역겹고 구역질이 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이 어떻게 해서 향수가 되게 되었는지 그 기원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향수(香水)는 좋은 냄새를 내기 위해 만드는 화장품의 하나로 정유, 향, 정착제, 용매 등의 혼합물이다.
이것은 향료를 알콜 등에 풀어서 만든다. 옷이나 몸에 직접뿌리며 향수가 들어있는 립스틱이나 로션 같은 화장품을 발라 향을 내기도 한다.
그밖에 불쾌한 냄새를 없애는데 쓰이기도 하고 비누를 만드는데에도 쓰인다. 화장지를 비롯한 몇몇 상품에는 값이 싼 산업용향수를 사용한다.
향수를 올바르게 보존하려면 뜨거운 열원으로부터 멀리하여야하며 빛에 노출되어서도 안 된다.
서양의 여자들은 냄새로 화장을 시작하지만 우리나라는 분이나 연지로부터 시작한다.
향수는 화장을 하는데 속옷과 같아서 취각(냄새)의 본능을 자극시켜 만족하게 하지만, 한국, 즉 우리나라에서는 이 향수가 마지막단계처럼 여겨서 너무 짙은 냄새를 풍기기 쉽다.
서양인들이 이처럼 향수를 즐겨 쓰게 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들은 손등에 키스하거나 껴안는 식의 인사를 하기 때문에 몸에서 나는 냄새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향수의 필요성을 들자면 끝이 없겠지만 자기에게 알맞은 향수를 고르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몸에서 나는 체취를 정확하게 알아야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목욕을 마치고 알콜 솜으로 겨드랑이를 닦으면 거기에 자신의 체취가 묻어 나온다. 그 냄새를 정확히 알면 자기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향수를 고를 수 있다.
향수란 뿌려서 원래의 자기체취와 잘 조화되어 더욱 향기로워져야 잘 고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자기 자신만이 선택할 문제이지 누구의 지도나 누가 뿌렸다고 나도 같은 것을 뿌리면 되는 것이 아니다.
향수 중에 가장 값이 비싼 것은 동물성 내음의 향수이고 그 다음이 식물성이면서도 동물성냄새를 느끼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향수라고 하면 으레 서양, 특히 프랑스의 ‘샤넬’쯤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그것이 서양 사람들의 강한 체취에 맞춰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우리네 한국 사람들이나 동양인들에게는 너무나 강해 잘 맞지 않는다는 것쯤은 알고 사용해야한다.
이와 반대로 동양이나 우리나라 것들은 근본적으로 비교적 체취가 약한 동양인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향수라면 무조건 값비싼 외제 유명브랜드나 유행품을 사서 사용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체취에 맞는 향수를 골라서 뿌리는 것이 좋다.
향수는 깨끗한 살갗에 살짝 뿌려야지 너무 많이 뿌리면 도리어 역효과가나며 사람들의 이맛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각자의 필요에 의해서 몸의 어느 부분에나 뿌릴 수 있지만, 항상 그윽한 향기가 나도록 함은 현대인의 기본 에티켓이라고 할 수 있다.  <myongyul@gmail.com>917/0226201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