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명칼럼> 대참사의 잔해에서 싹트는 비전

<이선명칼럼> 대참사의 잔해에서 싹트는 비전

 

납치여객기에 의한 가미카제 공습으로 순식간에 연옥(煉獄)이 되었던 뉴욕 로어 맨해튼의 세계무역센터 잔해(殘骸)에서는 아직도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그러나 불사조의 후예들은 이미 이 참사의 현장을 어떻게 재건할 것인 지를 토의하기 시작했다.

공습 불과 몇 시간 후 에드 코크 전 뉴욕 시장은 이번 참사로 잿더미가 된 세계무역센터를 테러사건 이전과 꼭 같은 모습으로 재건하자고 제안했다. “우리는 이미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그는 TV에 출연, 선언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1995년 뮤러 연방청사 폭파사건 후에 오클라호머 시의 예를 따라, 6천398 명의 실종자와 279 명의 사망자를 낸 이번 참사 현장을 기념 공원화하는 안을 개진하고 있다.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필립 디 몬테벨로 관장은 이 대재앙의 잔해의 일부를 이 곳에 보존할 것을 제안했다. 세계무역센터 전면의 앙상한 잔해가 마치 폭격 2차대전 시 폭격당한 성당의 폐허처럼 아직도 하늘을 향해 서있다. “나는 이 잔해가 모든 것을 잘 대변해 준다고 생각한다. 타다 남은 이 한 조각의 유품(遺品)은 우리에게 새로운 재도전의 결의를 불러일으킨다,”고 그는 말했다.

부시 대통령이 지난주 목요일 의회에서 행한 연설과 루돌프 줄리아니 시장이 저지난 일요일 양키 스테이디엄의 추도식에서 던진 메시지가 상정(上程)한 시나리오는 분명하다. 그것은 뉴욕이 불사조처럼 다시 일어나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찰스 슈머 (민-뉴욕 주) 상원의원은 “세계무역센터의 복사판을 다시 지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그 자리에 무언가 장엄한 상징물이 들어서야 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는 결코 어떠한 협박에 굴복하지 않는 다는 결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의미도 있고 또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뉴욕 주와 시 관료들은 이 아젠다에 대해 이미 개발업자들과 회담을 가졌다. 연방과 주와 시 당국, 개발업자, 그리고 아마도 미술 및 문화재 보존 그룹의 대표자들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이 계획은 당연히 맨해튼의 건축설계 전문인들의 역할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역사를 통해서 건축가들은 효과적인 치유자임을 증명해 왔다. 그리고 재앙은 “전보다 더 나은 것을 창조하자”는 공통된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우리는 전혀 새로운 구조물을 보게될 것이다.” 이것은 뉴욕의 현대미술관의 건축예술 큐레이터인 테렌스 라일리 씨의 전망이다.

디자이너들은 아직까지 건물을 고층으로 할 것인 지 낮게 할 것인 지, 전위적 형식을 도입할 것인 지 혹은 그 반대의 형식을 채택할 것인 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이 지금 개진하고 있는 의견의 방향은 생명이 없는 콩크리트 밭에 인간의 숨결을 불어넣자는 것이다. 즉 비즈니스 일색의 환경에서 문화적 교감이 흐르는 다원적인 네이버후드, 일터이면서 동시에 삶의 터전으로 만들어 보자는 비전이다. 마치 가게가 있고 스케이트 링크와, 식당과 사무실과 극장이 갖추어진 록펠러 센터의 새 밀레니엄 판을 연상하는 것이다. 기념관을 빠트릴 수 없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 .

“건축 예술은 우리의 삶의 모습을 결정해 주는 프레임이다. 그리고 건축물은 필요와 기능에 의해 크게 영향과 자극을 받는 예술이며 과학이다” 라고 라일리 씨는 말한다.

무(無)에서의 시작은 새로운 카드를 안겨준다.

한때 이 도시의 총 사무실 면적 10분의 1을 차지하면서 뉴욕의 마천루를 내려다보며 주위 환경에 영향을 미쳤던 110층의 건물이 16 에이커의 폐허가 되었다. 우리는 이 참화에서 인간애를 목격했다. 헌혈자의 행렬이 길게 뻗었고, 소방관과 철공들의 땀과 눈물이 강물처럼 흘렀다. 정치인들은 복구비로 2백억 달러를 지출하기로 합의했다.

건축가들은 이 대 스펙터클의 무대 뒤에서 미래를 말한다.

“건축가들은 구조물을 천부적인 선(善)으로 해석한다”고 라일리 씨는 지적한다. “건축가들의 눈에는 재건(再建)은 더욱 절실한 정신적 행위로 비쳐진다. 그것은 곧 재생(再生)의 몸부림이기 때문이다.”

1976년 준공된 세계무역센터는 뉴욕과 뉴저지의 항만청 소유이다. 건축예술 면에서 보면, 이 건물은 스위스 출신의 대가(大家)인 르 코르부시에의 환상(幻想)에서 나온 도시 유토피아의 마지막 걸작이었었다. 하지만 이 건물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한 낱 폐허가 된 이 마당에 건축가들은 이 건물에 대해 말하기를 꺼리고 있다. 어쨌든 이 건물은 미국의 경제적 성공의 심볼이 되었으며 뉴욕의 스카이라인에 감탄을 선사했다. 그러나 이제는 바벨탑의 전설처럼 극한적 비극의 상징이 되었다.

이번 “문명충돌”의 폐허에 세우는 기념비는 모든 인류에게, 그리고 모든 문명권에 희망과 정의와 화합의 상징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이선명) 325-1(2001/10/17)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