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열칼럼> 개와 고양이는 사이가 나쁘다.

<김명열칼럼> 개와 고양이는 사이가 나쁘다.
(서로간의 사이가 좋지 않음의 비유 이야기)

견묘쟁주(犬猫爭珠), 또는 견묘보주탈환(犬猫寶珠奪還)이라는 말이 있다. 이 뜻은 개와 고양이가 주인의 은혜를 갚기 위해 주인이 잃어버린 구슬을 되찾는 과정에서 서로 다투어 사이가 나빠지게 되었다는 설화에서 나온 이야기이다.
옛날 어느 바닷가에 늙은 부부가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이으며 살아가고 있었다. 어느날 노인이 큰 잉어를 잡게 되었는데, 잉어가 눈물을 흘리는 것을 보고 가여워서 놓아주었다. 다음날 노인이 바다에 나가보니 한 소년이 나타나 자기는 용왕의아들이라고 하며 어제 잡혔던 그 잉어가 바로 자기였다며, 노인의 은혜에 감사하면서 그를 용궁으로 초대하였다.
용왕의 융숭한 대접을 받고 보배 구슬을 얻어온 뒤 노인은 큰 부자가 되었다. 그 소문을 들은 강건너에 사는 노파가 할머니를 꾀어 속임수를 써서 구슬을 훔쳐갔다. 그 이후로 이 노부부의 집은 다시 가난해졌다. 그 집에서 기르고 있는 개와 고양이는 주인의 이러한 딱한 사정을 알자 주인의 은혜를 갚고자 이웃마을 강건너 노파의 집을 찾아가서 노파의 집에 숨어살고 있는 쥐들을 불러 모아 그 쥐들의 우두머리 왕을 위협하여 훔쳐갔던 보배의 구슬을 되찾게 되었다. 집으로 돌아오던 중 강물을 건널 때 개는 헤엄을 치고 고양이는 등에 업혀 구슬을 물고 있었는데, 개가 고양이에게 구슬을 잘 간수하고 있느냐고 자꾸 묻자 고양이는 그에 대답을 하다가 입에 물고 있던 구슬을 강물속에 빠뜨리고 말았다. 그 책임으로 서로 다투다가 개는 집으로 갔지만, 면목이 없어진 고양이는 강 건너편에서 머물고 집에 들어가지를 못했다. 어느날 그곳에 사는 어부가 커다란 고기 한마리를 잡아오자 고양이는 잽싸게 훔쳐 물고 달아나버렸다. 사람들의 시선이 없는 곳을 찾아 고양이는 며칠동안 못먹은 허기진 배를 채우고자 생선을 먹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며칠전 자기 입에서 떨어뜨린 구슬이 그 고기의 뱃속에 들어있는 것이었다. 그 속에서 구슬을 찾게 된 고양이는 그것을 주인에게 갖다 주었다. 주인의 보은에 답례로 행동을 보여준 고양이는 주인으로부터 집안에서 지내게 되며 우대를 받았고, 개는 집밖으로 쫓겨나 밖에서 거처하게 되었다. 그 이후부터 개와 고양이는 사이가 나빠졌다고 한다. 여기에 비유하여 견원지간(犬猿之間)이란 말이 있다. 개와 원숭이처럼 사이가 아주 나쁜 관계를 의미하는데, 원숭이가 많지 않은 우리나라 한국에서는 사실 이들이 얼마나 나쁜 사이인지를 실감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뜻을 알고 있어도 좀처럼 공감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보통 우리나라에서는 두 사람의 관계가 아주 나쁜 경우 견묘쟁주, 또는 견묘지간이라고 표현을 한다.
개와 고양이는 사이가 나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들이 왜 그렇게 서로를 미워하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이유를 찾을 수 없다고 한다. 정확한 근거가 있는 것도 아닌데 사람들은 개와 고양이가 서로 으르렁 대는 것을 당연시한다. 사실 개와 고양이의 사이가 나쁜 이유는 과학적으로 별 근거가 없다고 한다. 다만 서로 다른 언어로 말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같은 뜻을 반대로 표현을 한다는 것이다. 가령 예를 들자면 개가 꼬리를 세우고 살랑살랑 흔들면 ‘네가 좋아’라는 호감의 표시지만 고양이가 꼬리를세우면 ‘한번 싸워볼래?’ 라는 도전의 뜻이고, 개가 앞다리를 들면 ‘같이놀자’지만 고양이에겐 ‘저리 비키지 않으면 맞는다’라는 뜻이란다. 또 고양이가 만족의 표시로 ‘야옹’하는 것을 개는 으르렁거리는 경계의 소리로 알아듣는다.
시중에 흔히들 통용되고 비유되는 말로, 오월동주(吳越同舟)라는 말이 있다. 오월동주는 손자(孫子)의 구지편에 나오는 이야기로, 뜻이 서로 다른 사람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곤란한 처지에 처하면 원수라도 서로 협력하게 되는 경우에 쓰는 말이다. 오월동주라는 사자성어의 뜻은 지금까지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란 의미로 알려져 있다. 옛날 중국 오나라의 합려와 월나라의 윤상은 원수지간이었다. 윤상이 먼저 죽자 그의 아들 구천이 오나라를 쳐서 합려를 죽였는데, 뒤에 합려의 아들 부차에게 구천이 패하고 말았다. 그 뒤 오나라와 월나라는 더욱 서로를 미워하고 견제하는 원수의 사이가 되었다. 이에 손자는 ‘오나라와 월나라는 원수처럼 미워하는 사이지만 그들이 같은 배를 타고 바다를 나갔다가 풍랑을 만난다면 원수처럼 싸우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서로 긴밀히 도울것이다’ 라고 말했다. 적국사이인 오와 월나라사람이 한배를 타고있다 서로 미워하면서도 공동의 어려움이나 이해에 대해서는 협력하는 경우를 말한 것이다.
최근 한국의 정치상황을 볼것 같으면 가관이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국회의원들의 이야기다. 작년 이맘때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찬성을 했던 자유한국당 탈당파 의원들이 바른정당을 창당하여 정치활동을 하던 중, 이번에는 다시 바른정당을 탈당하여 자유한국당으로 되돌아와서 복당했다. 한때는 배신자라는 딱지를 이마에 붙이고 국민들의 눈총을 받아왔던 그들이 최근에는 자기의 정치생명을 유지하기위하여 한국당으로 되돌아와 같은 배를 탔다.
탈당의 변명은 보수의 힘이 단합하여 좌파정부인 문제인정권을 견제하고 보수의 통합을 이루자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때는 서로간에 으르렁대며 원수처럼 지내더니 이제는 정치생명을 유지하고 원하는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오월동주의 입장이 되었다. 특히 정치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과거서부터 이렇게 정권유지를 위하거나 정권야욕에 눈이 어두워 이합집산을 이루고 있던 정치인이나 정당들이 오월동주(吳越同舟)처럼 한배를 타고 공동의 정치목적을 향하여 권모술수를 횡행하던 사례들이 한국의 정치사에서는 너무나 많았었다.
견묘쟁주와 오월동주나 모두가 서로 비슷한 뜻과 상황을 표현하지만, 어쨋건 동상이몽(同床異夢=같은 침상에서 잠을 자도 꿈은 달리 꾼다는 뜻으로, 다시 말해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도 속의 생각은 서로 다를수 있다는 뜻) 속에 정치적인 요지경속을 연출하고 있다. 세상에서 보면 이렇게 서로를 견제하거나 뜻이 다른 상황속에서도 자기의 편익과 목적을 위해서는 원수지간도 서로 손을 잡고 자신의 뜻한바 목적을 이뤄내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세상은 참으로 재미있고, 이해가 안가는 상황과 일들이 많이 있음을 보고 깨닫고 배우게 된다. 세상 참 오래 살고볼일이다. <칼럼니스트 / 탬파거주> myongyul@gmail.com <1097>

Top